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19

중랑 맛집!! 중랑 고깃집 소문난마약고기에서 소고기 맛있게 먹었어요 ㅎㅎ 중랑 맛집!! 중랑 고깃집 소문난마약고기에서 소고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어제부터 내리는 비로 인해 날씨가 상당히 우중충합니다 ㅎㅎㅎ 이제 늦더위가 기승부리지는 못하겠죠?? 오늘은 엇그제 다녀온 중랑 고깃집인 소문난마약고기를 보여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저희도 인터넷 검색을 통해 처음 방문한 곳입니다. 저희가 도착했을 때는 이미 손님들이 많이 있더라구요 식사 후기를 페이스북이나 블로그에 올리면 서비스 받으실 수 있습니다!! 메뉴판을 펼쳐보니 소고기임에도 불구하고 생각보다 가격은 저렴한 편입니다. 음~~주류값도 상당히 마음에 듭니다 ㅎㅎㅎ 가게앞에는 자그만한 공룡이 지키고 있습니다. 들어오라는군요 ㅋㅋㅋ 자리가 한자리 남아서 앉아보니 공룡의 뒷모습이 잘보이는 곳입니다!! 물뜨는 바가지(?)에 파절이가 나옵니다 오.. 2016. 9. 28.
외모의 추상( 추한 모습 )장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프라임에셋 김성수 지점장입니다. 오늘은 외모의 추상( 추한 모습 )장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장해의 분류 지급율( % ) 1) 외모에 뚜렷한 추상( 추한 모습 )을 남긴 때 2) 외모에 약간의 추상( 추한 모습 )을 남긴 때 15 5 ▶ 장해 판정 기준 1) " 외모 "란 얼굴( 눈, 코, 귀, 입 포함 ), 머리, 목을 말한다. 2) " 추상( 추한 모습 )장해 " 라 함은 성형수술 후에도 영구히 남게 되는 상태의 추상( 추한 모습 )을 말하며, 재건수술로 흉터를 줄일 수 있는 경우는 제외한다. 3) " 추상( 추한 모습 )을 남긴 때 "라 함은 상처의 흔적, 화상 등으로 피부의 변색, 모발의 결손, 조직( 뼈, 피부 등 )의 결손 및 함몰 등으로 성형수술을 하여도 더 이상 추상( .. 2016. 9. 28.
귀의 장해 판정기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프라임에셋 김성수입니다. 오늘은 귀의 장해 판정기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귀의 장해 ◆ 장해의 분류 지급율( % ) 1) 두귀의 청력을 완전히 잃었을 때 2) 한귀의 청력을 완전히 잃고, 다른 귀의 청력에 심한 장해를 남긴 때 3) 한귀의 청력을 완전히 잃었을 때 4) 한귀의 청력에 심한 장해를 남긴 때 5) 한귀의 청력에 약간의 장해를 남긴 때 6) 한귀의 귓바퀴의 대부분이 결손된 때 80 45 25 15 5 10 ▶ 장해판정기준 1) 청력장해는 순음청력검사 결과에 따라 데시벨로서 표시하고 3회이상 청력검사를 실시한 후 순음평균역치에 따라 적용한다. 2) " 한 귀의 청력을 완전히 잃었을 때 "라 함은 순음청력검사 결과 평균순음역치가 90db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3) " 심한.. 2016. 9. 27.
장해분류표 - 눈의 장해 판정기준을 알아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프라임에셋 김성수 입니다. 오늘은 장해분류표상의 눈의 장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장해의 분류 지급율( % ) 1) 두눈이 멀었을 때 2) 한눈이 멀었을 때 3) 한눈의 교정시력이 0.02 이하로 된 때 4) 한눈의 교정시력이 0.06 이하로 된 때 5) 한눈의 교정시력이 0.1 이하로 된 때 6) 한눈의 교정시력이 0.2 이하로 된 때 7) 한눈의 안구에 뚜렷한 운동장해나 뚜렷한 조절 기능장해를 남긴 때 8) 한눈의 시야가 좁아지거나 반맹증, 시야협착, 암점을 남긴 때 9) 한눈의 눈꺼풀에 뚜렷한 결손을 남긴 때 10) 한눈의 눈꺼풀에 뚜렷한 운동장해를 남긴 때 100 50 35 25 15 5 15 5 10 5 ◆ 장해판정기준 ◆ 1)시력장해의 경우 공인된 시력검사표에 따라 측정한다. 2) .. 2016. 9. 27.
장해분류표에서 말하는 장해란?? 안녕하세요~프라임에셋 김성수 지점장입니다. 오늘은 장해분류표에서 말하는 장해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장해의 정의 1) " 장해 "라 함은 상해 또는 질병에 대하여 치유된 후 신체에 남아있는 영구적인 정신 또는 육체의 훼손상태를 말한다. 다만, 질병의 부상의 주증상과 합병증상 및 이에 대한 치료를 받는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증상은 장해에 포함되지 않는다. 2) " 영구적 "이라 함은 원칙적으로 치유시 장래 회복의 가망이 없는 상태로서 정신적 또는 육체적 훼손상태임이 의학적으로 인정되는 경우를 말한다. 3) " 치유된 후 "라 함은 상해 또는 질병에 대한 치료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게 되고 또한, 그 증상이 고정된 상태를 말한다. 4) 다만, 영구히 고정된 증상은 아니지만 치료종결 후.. 2016. 9. 26.
상해와 재해의 차이를 알고 계신가요?? 안녕하세요~프라임에셋 김성수 지점장입니다. 오늘은 비교해서 혼동하기 쉬운 상해와 재해의 차이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상해사고와 재해사고의 비교 손해보험회사의 보험약관에서는 ' 상해사고 ' , 생명보험사의 보험약관에서는 ' 재해사고 '로 표기하고 있으며, 이는 아래와 같은 차이점이 있다. ◆ 상해 손해보험의 약관상 상해라 함은 급격하고도 우연한 외래의 사고를 말합니다. ① 급격성이란 사고와 결과의 내용이 급격할 것을 말하며, 예를 들어 반복적인 운동으로 인해서 서서히 일어난 골절은 상해로 보지 않음 ② 우연성이란 사고나 결과의 내용을 예측 할 수 없을 것을 말하며, 예를 들어 자살이나 재해, 폭력 행위 등은 우연성이 없다 할 것임 ③ 외래성은 사고가 신체 외부의 영향으로 발생한 것을 말하며, 신체 내부에.. 2016. 9.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