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가락의 장해는 어떻게 분류하고 있을까요??
안녕하세요~프라임에셋
김성수 지점장입니다!!
오늘은 발가락 장해시
어떻게 분류되고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장해의 분류 ◆
장해의 분류 |
지급률( % ) |
1) 한발의 리스프랑관절 이상을 잃었을 때 2) 한발의 5개발가락을 모두 잃었을 때 3) 한발의 첫째발가락을 잃었을 때 4) 한발의 첫째발가락 이외의 발가락을 잃었을 때( 1발가락마다 ) 5) 한발의 5개발가락 모두의 발가락뼈 일부를 잃었을 때 또는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6) 한발의 첫째발가락의 발가락뼈 일부를 잃었을 때 또는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7) 한발의 첫째발가락 이외의 발가락의 발가락뼈 일부를 잃었을 때 또는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 1발가락마다 ) |
40 30 10
5
20
8 3 |
◆ 장해판정 기준 ◆
1) " 발가락을 잃었을 때 "라 함은 첫째 발가락에서는 지관절로부터 심장에 가까운 쪽을,
나머지 네 발가락에서는 제1지관절(근위지관절)로부터 심장에서 가까운 쪽에서 잃었을 때를 말한다.
2) 리스프랑 관절 이상에서 잃은 때라 함은 족근-중족골간 관절 이상에서 절단된 경우를 말한다.
3) " 발가락뼈 일부를 잃었을 때 "라 함은 첫째 발가락에 있어서는 지관절, 다른 네 발가락에 있어서는
제 1지관절(근위지관절)로부터 심장에서 먼쪽에서 발가락뼈를 잃었을 때를 말하고
단순히 살점이 떨어진 것만으로는 대상이 되지 않는다.
4) " 발가락에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라 함은 발가락의 생리적 운동 영역이 정상 운동가능영역의 1/2 이하가
되었을 때를 말하며, 이 경우 발가락의 주된 기능인 발가락 관절의 굴신기능을 측정하여 결정한다.
5) 한 발가락에 장해가 생기고 다른 발가락에 장해가 발생한 경우, 지급률은 각각 적용하여 더한다.
'일상 이야기 > 보험금 청구 전문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흉복부장기 또는 비뇨생식기의 장해를 살펴보겠습니다. (0) | 2016.10.06 |
---|---|
손가락의 장해 어디까지 알고 계신가요?? (0) | 2016.10.05 |
약관상 팔의 장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0) | 2016.10.04 |
체간골의 장해란 무엇일까요?? (0) | 2016.10.04 |
허리디스크라 알고 있는 척추( 등뼈 )의 장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0) | 2016.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