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 이야기/보험금 청구 전문지식

발가락의 장해는 어떻게 분류하고 있을까요??

by 그날을 꿈꾸며 2016. 10. 25.

 

발가락의 장해는 어떻게 분류하고 있을까요??

 

 

 

 

 

 

안녕하세요~프라임에셋

김성수 지점장입니다!!

 

오늘은 발가락 장해시

어떻게 분류되고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장해의 분류 ◆

 

 

장해의 분류 

지급률( % ) 

1) 한발의 리스프랑관절 이상을 잃었을 때

2) 한발의 5개발가락을 모두 잃었을 때

3) 한발의 첫째발가락을 잃었을 때

4) 한발의 첫째발가락 이외의 발가락을 잃었을 때( 1발가락마다 )

5) 한발의 5개발가락 모두의 발가락뼈 일부를 잃었을 때

또는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6) 한발의 첫째발가락의 발가락뼈 일부를 잃었을 때

또는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7) 한발의 첫째발가락 이외의 발가락의 발가락뼈 일부를

잃었을 때 또는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 1발가락마다 ) 

40

30

10

 

5

 

20

 

8

 

 

 

 

 

◆ 장해판정 기준 ◆

 

 

1) " 발가락을 잃었을 때 "라 함은 첫째 발가락에서는 지관절로부터 심장에 가까운 쪽을,

나머지 네 발가락에서는 제1지관절(근위지관절)로부터 심장에서 가까운 쪽에서 잃었을 때를 말한다.

 

 

2) 리스프랑 관절 이상에서 잃은 때라 함은 족근-중족골간 관절 이상에서 절단된 경우를 말한다.

 

 

3) " 발가락뼈 일부를 잃었을 때 "라 함은 첫째 발가락에 있어서는 지관절, 다른 네 발가락에 있어서는

제 1지관절(근위지관절)로부터 심장에서 먼쪽에서 발가락뼈를 잃었을 때를 말하고

단순히 살점이 떨어진 것만으로는 대상이 되지 않는다.

 

 

4) " 발가락에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라 함은 발가락의 생리적 운동 영역이 정상 운동가능영역의 1/2 이하가

되었을 때를 말하며, 이 경우 발가락의 주된 기능인 발가락 관절의 굴신기능을 측정하여 결정한다.

 

 

5) 한 발가락에 장해가 생기고 다른 발가락에 장해가 발생한 경우, 지급률은 각각 적용하여 더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