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프라임에셋 김성수 지점장입니다.
오늘은 장해의 분류표 중
흉복부장기 및 비뇨생식기 장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장해의 분류 ◆
장해의 분류 |
지급율( % ) |
1) 흉복부장기 또는 비뇨생식기 기능에 심한 장해를 남긴 때 2) 흉복부장기 또는 비뇨생식기 기능에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3) 흉복부장기 또는 비뇨생식기 기능에 약간의 장해를 남긴 때 |
75 50 20 |
◆ 장해의 판정기준 ◆
1) " 흉복부장기 또는 비뇨생식기 기능에 심한 장해를 남긴 때 " 라 함은
① 심장, 폐, 신장 또는 간장의 장기이식을 한 경우
② 장기이식을 하지 않고서는 생명유지가 불가능하여 혈액투석 등
의료처치를 평생토록 받아야 할 때
③ 방광의 기능이 완전히 없어진 때
2) " 흉복부장기 또는 비뇨생식기 기능에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 라 함은
① 양쪽 고환 또는 양쪽 난소를 모두 잃었을 때
3) " 흉복부장기 또는 비뇨생식기 기능에 약간의 장해를 남긴 때 "라 함은
① 비장 또는 한쪽의 신장 및 한쪽의 폐를 잘라내었을 때
② 장루, 요도루, 방관누공, 요관, 장문합이 남았을 때
③ 방관의 용량이 50cc 이하로 위축되었거나 요도협착으로 인공요도가 필요한 때
④ 음경의 1/2 이상이 결손 되었거나 질구 협착 등으로 성생활이 불가능한 때
⑤ 항문 괄약근의 기능장해로 인공항문을 설치한 경우
4) 흉복부장기 또는 비뇨생식기의 장해로 인하여 일상생활 기본동작에 제한이 있는 경우
" 일산생활 기본동작( ADLs ) 제한 분류표 "에 따라
장해를 평가하고 둘 둥 높은 지급율을 적용한다.
5) 장기간의 간병이 필요한 만성질환( 만성간질환, 만성폐쇄성질환 등 )은
장해의 평가대상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일상 이야기 > 보험금 청구 전문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가락의 장해는 어떻게 분류하고 있을까요?? (0) | 2016.10.25 |
---|---|
손가락의 장해 어디까지 알고 계신가요?? (0) | 2016.10.05 |
약관상 팔의 장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0) | 2016.10.04 |
체간골의 장해란 무엇일까요?? (0) | 2016.10.04 |
허리디스크라 알고 있는 척추( 등뼈 )의 장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0) | 2016.09.29 |